Python

Python. day1 - MarkDown(with.colab)

머용? 2023. 12. 9. 11:06

##개발환경은 세계적인 머기업의 코랩(colaboratory)을 사용하였습니다.

마크다운(Markdown) : Markup(마크업)언어의 일종으로 HTML 경험이 없는 누구나 다양한 서식을 쉽게 편집할 수 있는 문서 편집 문법이다.

  1. 제목(header)의 표시 : #의 개수가 많아질수록 글씨의 크기가 줄어든다. 크기를 다양화 함으로써 내용을 계층적으로 구성할 수 있다.

  1. 강조 : 텍스트의 특정 부분을 강조하여 독자들의 관심을 끌 수 있다. 이탤릭체(Italic)와 볼드체(Bold)가 있다.

    • 이탤릭체 사용법 : 텍스트의 앞뒤로 * 이나 _ 기호를 사용한다.

    • 볼드체 사용법 : 텍스트의 앞뒤로 ** 이나 __ 기호를 입력한다.

    • 둘다 같이 사용할 수도 있다.

  2. 목록(Lists) : 문서 내에서 여러 항목이나 내용을 정리하려면 목록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. 마크다운에서는 두가지 유형의 목록을 제공한다,

    • 순서 없는 목록(Unordered Lists) : 순서가 중요하지 않은 목록을 나열할 때 사용. 항목앞에 - , + , * 중 하나를 사용하여 목록을 생성 할 수 있다.

    • 순서가 있는 목록(Ordered Lists) : 순서가 중요한 목록을 나열할 때 사용. 항목 앞에 숫자와 .(점)을 사용해 생성할 수 있다.

  3. 링크(Links) : 마크다운 문서에서 외부 웹사이트나 다른 문서로의 연결을 제공할 때 링크를 사용한다. 링크를 통해 독자는 추가정보나 관련자료를 쉽게 찾아볼 수 있도록 한다.

    • 기본링크(Basic Links)
      : 텍스트에 하이퍼링크를 적용하려면 텍스트의 앞뒤로 대괄호 [] 를 감싸고, 그 뒤 소괄호 () 안에 URL을 넣는다.

    • 타이틀이 있는 링크 (Links with Title)
      : 링크에 마우스를 올렸을 때 추가 정보(툴팁)을 제공하려면, URL뒤에 공백을 두고 큰따옴표 "" 안에 타이틀을 작성한다.

    • 참조링크(Reference Links)
      : 마크다운 문서에서 특정 URL을 효과적으로 관리하고 재사용하기위한 방법. 동일한 URL을 작성해야할 때 유용하다.

      • 기본 사용법

        1. 대괄호[] 안에 사용하고자 하는 링크 이름 입력
        2. 그 다음 대괄호[]안에 참조 하려는 링크 이름 입력
        3. 해당 참조이름과 실제 URL을 연결

      • 간결한 사용법
        : 만약 링크이름과 참조하려는 링크의 이름이 동일하다면 참조 링크 이름을 생략가능하다.

  4. 이미지(Images) : 마크다운 문서에 이미지를 삽입하여 독자에게 정보를 더 풍부하고 효과적이게 전달가능하다.

    • 기본 이미지 삽입
      : !뒤에 대괄호[]안에 이미지의 대체 텍스트를 작성해주고 소괄호()안에 이미지 링크를 삽입한다.

      • 참조 이미지 삽입
        : 이미지의 URL을 여러번 사용해야 할 경우 참조 링크 형식으로 사용할 수 있다.

  5. 코드 블록(Code Blocks) : 여러줄의 코드를 입력할 때 사용한다. 가독성을 높이고 문법강조(Syntax Hilighting)를 적용하여 코드를 더욱 명확히 표현할 수 있다.

    • 기본 코드 블록 : 백틱 세개로 시작해서 다음줄에 문장을 입력하고 백틱 세개로 마무리한다.

    • 문법 강조를 사용한 코드 블록 : 백틱 세개의 뒤에 프로그래밍 언어의 이름을 명시한다.

  6. 수평선(Horizontal Line) : 마크다운 문서에서 내용의 구분이 필요할 때 사용하는 시각적 요소. 긴 문서나 여러 주제를 다루는 글에서 각 섹션을 명확히 구분하기 위해 사용한다.

    • 사용법 : 3개 이상의 하이픈(-),별표(*),언더바(_)를 사용한다. 수평선 위아래로 공백의 줄을 두어 내용이 겹치지 않게 하는 것이 좋다.

꼬예님의 글을 참조하였습니다.